ORDER
TO CREATE VALUE
가치를 만들고, 함께 고민하다
창작자를 위한 제작 가이드
가죽 제품 제작을 고려하는 창작자와 기업 담당자를 위해,
서울가죽소년단은 가죽 소재의 특성, 생산 방식, 제작 과정의 핵심 요소를 정리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돕고, 원활한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성했습니다.
또한, 디자인을 실제 제품으로 완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들을 최소화하여,
높은 완성도를 가진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서울가죽소년단과 함께, 당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어 보세요.
01. 소재 정보
소재 선택이 곧 제품의 퀄리티
가죽 제품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소재 선택입니다.
기획한 디자인에 적합한 소재를 선정하고 용도에 맞게 적용해야, 제품의 질감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품질의 가죽은 높은 원가를 수반하지만, 반드시 고가의 소재만이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소재의 특성과 물성을 이해하고 제품의 디자인과 구조에 맞게 적절히 적용하면, 비용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면서도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적절한 소재 선택은 제작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전략이 됩니다.
✅ 천연가죽 VS 합성가죽
동물의 원피 활용 여부에 따라 천연가죽과 합성가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섬유질을 활용한 친환경 가죽도 선택가능
천연가죽 – 소가죽, 양가죽, 염소가죽 등 / 질감과 내구성 우수, 고급스러움
합성가죽 – PU, PVC, 바이오 기반 가죽 등 / 원가절감 및 대량생산 용이함
✅ 베지터블 vs 크롬
무두질(Tanning)이란, 원피가 부패하지 않고 소재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가공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베지터블 가죽 – 식물성 탄닌으로 가공 /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스러운 태닝 효과
크롬 가죽 – 화학적 공정을 거쳐 유연하고 방수 기능 강화 / 다채로운 컬러 표현 가능
✅ 기타 가공방식
가죽의 질감과 마감 방식에 따라 다양한 가공법이 적용됩니다. 대표적인 가죽으로 FG, Napa, MC, 슈렁큰, 오플, 복스, BBG, 풀업, 누벅, 스웨이드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은 디자인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조에 맞는 요소의 선택
제품 기획은 결정의 연속입니다.디자이너가 상상한 디자인을 제품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겉감, 내피, 하드웨어 등의 소재 선택뿐만 아니라, 제작 과정에서 적용할 세부적인 방식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주요 요소
겉감 – 제품의 외형을 결정하는 주 소재로, 디자인과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침
내피 – 내부 마감을 위한 소재로, 천연가죽·합성가죽·패브릭 등이 사용됨
심재 – 형태 유지 및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삽입하는 보강재
마감/디테일
스티칭 – 제품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요소로, 실의 종류와 봉제 방식에 따라 견고함이 달라짐
마감/가공 – 코팅, 엣지 페인트, 엠보싱 등 추가 가공을 통해 내구성과 디자인 완성도를 향상
하드웨어 – 지퍼, 버튼, 버클 등 금속 부자재로, 제품의 기능성과 디자인을 보완

맞박기/아웃스티치
겉면에 스티치가 보이는 방식으로,
포멀하고 클래식한 디자인에 적합

뒤집기(솔기식)/인스티치
가죽을 박음질한 후 뒤집어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부드러운 가죽사용

얹어박기
한쪽의 가죽을 얹어 봉제하는 방식, 깔끔한 형태이나 작업이 까다로움
03. 생산형태
전략적인 생산방식에 대한 고민
가죽 제품의 생산 방식은 제품의 용도, 디자인, 예산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량 제작과 대량 생산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브랜드에 맞는 최적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요 생산 형태
제품 개발의 주체(브랜드 vs 제조사), 생산 규모, 맞춤형 제작 여부 등의 요소로 구분됩니다
구분 | OEM | ODM | CUSTOM ORDER |
---|---|---|---|
설명 |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 제조자 개발 생산 | 소량 주문 제작 |
브랜드가 디자인을 기획하고 제조사에 생산을 의뢰 |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디자인을 개발, 브랜드가 선택하여 생산 | 브랜드 또는 개인 창작자가 맞춤 디자인을 요청 | |
브랜드 개입정도 | 디자인·기획은 브랜드 담당, 제조는 외주 | 디자인부터 생산까지 제조사가 담당 | 1:1 맞춤형으로 브랜드 또는 개인이 세부 기획 |
생산 규모 | 대량 생산이 일반적 (MOQ가 높음) | 대량 생산이 일반적 (MOQ가 높음) | 소량 제작 가능 (MOQ가 낮음) |
대상 | 자체 브랜드를 운영하며, 독창적인 제품 생산의 경우 | 빠른 일정 및 개발비용을 절감하고 싶은 경우 | 스타트업, 소규모 브랜드, 개인 창작자 |
✅ 소량생산 VS 대량생산
생산 방식을 결정할 때는 시장 전략, 비용, 생산 속도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회성인지 장기 공급용 인지에 따라 적합한 방식이 달라지며, 개당 단가를 낮추려면 대량 생산이 유리하지만 초기 비용 부담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빠른 납품이 필요한지, 맞춤 제작이 가능한지도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됩니다.
소량 제작 – 초기 브랜드, 한정판 제작, 맞춤형 제품에 적합 (단가↑, MOQ↓, 리드 타임↑)
대량 생산 – 유통망 확보 브랜드, OEM/ODM 방식에 적합 (단가↓, MOQ↑, 리드 타임 안정적)
명확한 지시, 완별한 결과물
가죽 제품을 제작할 때, 디자이너와 제작자 간의 원활한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디자인을 실제 제품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작업지시서를 명확하게 작성해야 하며, 세부적인 정보가 포함될수록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고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작업지시서의 역할
작업지시서는 제작자가 디자인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은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소재, 크기, 컬러, 부자재, 봉제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며,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선을 방지하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제품 개요 – 발주처, 제품명, 카테고리, 주요 특징
✔ 소재 정보 – 겉감, 내피, 부자재(지퍼, 버튼 등)의 종류 및 색상
✔ 치수 및 스펙 – 제품의 정확한 사이즈, 두께, 용량 등
✔ 봉제 방식 – 스티치 유형, 마감 처리 방법
✔ 디자인 디테일 – 포켓, 스트랩, 로고 및 브랜딩 요소
✔ 참고 이미지 및 도면 – 2D 스케치, 3D 렌더링, 예시 제품 사진